Jump to content
  • 작성글
    5
  • 개의 댓글
    11
  • 조회수
    94,661

블로그 소개

좋아하는 것에 대해 나열합니다.

Entries in this blog

이어령 전 장관과 필즈상 허준이 교수의 책상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가 최근의 근황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어는 그의 연구실 책상을 묘사하며, ‘노트 뭉치, 샤프펜슬, 모래시계’만 있었다고 전했다. 허준이 교수는 자신의 하루 일과를 소개하며 오전 3시에 일어나 명상과 조깅을 하고, 오전 9시에 연구실에 나와 연구를 하며 보내고, 점심은 혼자 매일 같은 식당에서 같은 메뉴를 먹는다고 했다. 메뉴의 이름은 ‘샤와르마’라는 중동 음식이다. 오후 5시에 퇴근하고, 오후 9시에 잠이 든다고 했다. 그리곤 이러한 일상과 루틴의 이유를 설명했다. 나는 허준이 교수의 ‘그 이유’를 듣고 작년(2022년 2월) 작고한 이어령 전 장관의 ‘서재’가 생각났다. 이어령 전 장관의 서재에는 8대의 컴퓨터가 있는 것으로 유명했다. (내가 처음 서재를 보았을 때는 6대의 컴퓨터가 있었다.) 당시에는 ‘어르신 취향이 특이하시네.’ 라고 웃었던 기억이 있다. 오늘 그 당시의 인터뷰를 찾아보았는데, 대부분의 인터뷰어들이 ‘첨단 기술을 사랑하는 노년

재욱.

재욱. in 생각

‘좋아하는 것을 하라’는 문장은 잘못 이해되고 있어요.

좋아하는 것을 하라는 말은 많은 사람들에게 구전되는 흔한 이야기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말이 옳은 줄로만 알고 있고 그 말을 듣고 따로 행동하진 않죠. 또 특정 사람들은 그런 이상적인 이야기는 하지도 말고, 듣지도 말라고 합니다. 좋아하는 것을 하라는 것의 의미를 저 스스로는 이렇게 받아들여요. 이 이야기와 가장 많이 대응되는 소재는 ‘좋아하는 것을 해야 돈을 벌 수 있다, 없다’인데, 제가 보았을 때 둘(좋아하는 것과 돈을 버는 것)은 별 상관이 없어요. 좋아하는 것은 ‘나’에 대한 이야기고, ‘돈을 번다, 못본다’는 시장의 평가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죠. 둘이 맞아 들어갈 수도 있고, 맞아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어요. (대다수의 경우 맞아들어가지 않아요.) 다시 말하자면 현재의 단계에서 둘은 그냥 별로 상관이 없어요. 대신 ‘좋아하는 것을 한다’는 것은 이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해요.  ‘꾸준이’ 또는 ‘오래’ 또는 ‘꾸준히 오래’ 할

재욱.

재욱. in 생각

없어 보지만, 독창성은 처음부터 그곳에 있었다.

나는 ‘따라하는 것’에 대해서 호의적이다.  ‘따라하기’는 그대로 따라하는 것 같지만, 사실 내막은 그렇지 않다. 그대로 따라하고 있다면 스스로 따라해 본 ‘양’이 아직 부족하다고 봐야 옳을 것 같다. 임계치의 양 만큼 따라하면 갑자기 구미가 당기는 ‘어떤 것’이 생긴다. 그건 취향과도 같은 것인데, 어떤 부분은 좋고 다른 부분은 싫은 것으로 나뉜다.(사실 더 다양한 기준으로 나뉜다.) 강조하고 싶은 점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지’, ‘옳고 그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느낌이 본능적이고 빨리 마음속에서 솟아오를 때까지가 ‘따라해야 하는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를 밟아가고 있을 때, ‘그럼 질(퀄리티)는 어떻게 되느냐?’는 생각이 있다면 (혹은 누군가가 의문을 던진다면) ‘양이 질이다.’라는 거리의 농담을 떠올려보자. 그 ‘좋아하고 더 좋아지는 마음’은 처음부터 모두의 마음 속에 (적어도 하나씩은) 있다. 아직 밖으로 표현되지 못했을 뿐이다. 그리고

재욱.

재욱. in 생각

메모에 놓치지 않고, 함께 기록해야 하는 단 한 가지

주위에서 듣고 보아온 메모는 들으면서 적거나, 읽으면서 적어거나, 생각나는 것을 적어보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대로 실천해 보면, 그 후에 어려움에 부딪힌다. 일단 적긴 했는데, 기록한 메모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 어려움. 어려움에서 파생되는 가장 좋지 않은 결과는 ‘스스로 적은 메모가 쓸모 없다고 느끼는 경험’이다. 이런 경험을 공유하시는 분들은 ‘메모를 적극적이고 왕성하게 하는 것’에 부정적으로 보는 것을 여럿 목격했다.  나는 메모를 많이 하지 않았음에도 유사한 경험을 했다. 유행에 따라 다이어리를 사고, 포스트잇을 사고, 메모앱을 찾아보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연말의 다이어리가 연초 구입 당시의 다이어리와 기록된 양에서 크게 차이가 없고, 포스트잇에 이것저것 적었지만 시간이 지나 무슨 내용이었는지 기억이 흐릿하고, 메모앱을 이것저것 써 보았지만 이유 없이 적힌 메모가 여기저기 흩어지는 일상의 반복이었다. 가치없는, 쓸모없어 보이는 메모들.

재욱.

재욱. in 생각

요약의 힘은 선택으로부터 온다

내가 부러워했던 블로거가 있다. 그는 수려한 글을 쓰고, 자신의 주장을 매혹적으로 펼쳤다. 대체 어떻게 그렇게 해낼 수 있는지 궁금했다. 그는 '어떻게 하면 당신처럼 글을 쓸 수 있느냐'는 질문부터 '대체 연애는 어떻게 하는거냐'는 질문까지 수많은 질문을 받았다고 했다. 그 중 '어떻게 하면 당신처럼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여러번 언급한 적이 있는데, 오늘은 그 얘기를 적어보려 한다. 그는 학생시절 '영화'를 무척 좋아했는데, 그 시절 영화 커뮤니티(당시에는 게시판)에 글을 많이 게시했다고 했다. 영화잡지에도 독자 투고하며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전문지 편집장으로부터 메시지를 받고, 원고료를 받고 글을 기고하게 되었다고 했다. 그는 그 경험을 공유하며, '영화를 보고, 그 영화를 요약하는 것은 생각보다 큰 지적훈련이 된다.'며 그 방법을 권했다. 글을 읽을 당시, 나는 '오! 영화 요약만 해도 지적훈련이 된다니. 엄청나군!' 이라

재욱.

재욱. in 생각

×
×
  • Create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