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ontent

beTITAN 검색하기

'헵타베이스' 태그 검색 결과.

  • 태그로 검색

    여러개 태그를 사용 할 때 쉼표로 태그를 구분하실 수 있습니다.
  • 글 작성자를 지정해서 검색하기

콘텐츠 타입


블로그

  • Key 타이탄 되기 데일리 블로그
  • James의 제텔카스텐 투자 노트
  • CMDS 타이탄의 실오라기 연구실
  • chatGPT 커뮤니티
  • 이태극의 세컨드브레인
  • 깁고 더하는 지식 노동자
  • 트렌드세터 (프로덕트 메이커)
  • Key의 Vitamin M 전문 스마트 스토어
  • 사색가 이태극
  • 읽기와 쓰기
  • 브라이언의 삶의 GPS 마스터하기
  • 작가와 러닝앤그로스
  • 분석맨의 '두 번째 뇌'
  • Saisiot’s Laboratory
  • 반을의 작업실 Baneul's Atelier
  • 반짝이는 매일, Twinklekris.
  • 달나라
  • 방해받지 않는 삶

beTITAN 커뮤니티

  • beTITAN 타이탄 되기 커뮤니티
    • 공지 및 이용 안내 Tip
    • beTITAN 기간 한정 공개 게시물
    • [회원 전용] 묻고 답하기 질답 게시판
    • [회원 전용] 화기애애 자유 게시판
  • beTITAN 주제별 + 목적별 타이탄 되기 프로젝트
    • 스마트하게 + 세련되게 + 명료한 일잘러 되기
    • 글로벌 셀러를 위한 D2C 및 브랜드

키워드 검색 범위

검색어 포함 여부


작성일 기준

  • 시작

    종료


수정일 기준

  • 시작

    종료


Filter by number of...

회원 가입

  • 시작

    종료


회원 그룹


소개글


가장 많이 쓰는 생산성 앱

2 개의 검색 결과를 찾았습니다.

  1. "앱을 아직까지 고르고 있다고? 메모는 하나도 못해봤다고?" + 넉달전쯤인가, 한 지인에게 제텔카스텐, 옵시디언, 세컨드 브레인에 대해 열심히 설명한 적이 있다. "써봐 써봐 좋아" 그리고 또 얼마전엔, 헵타베이스에 대해서 내가 어떤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얘기를 했던적이 있다. 그 때 한참 헵타베이스를 쓰기 시작하면서 "맵, 카드 그리고 저널을 이런식으로 쓰면 좋겠구나!"라고 나름의 방법을 찾아가던 때였고, 옵시디언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사용 부분을 찾아내서 적용하던 중이었다. (지금은 옵시디언에 캔버스 기능이 추가되었고 사용해봤는데, 아직은 헵타베이스의 맵, 카드 그리고 카드와 연결한 저널 방식을 계속 사용할꺼 같다.) 오래간만에 만난 지인과 이런 저런 얘기들을 나누다가, 메모는 좀 잘 하고 있는지 물어 봤다. 지인은 "어떻게 하면 나만의 메모 시스템을 잘 구축할지 이런 저런 앱들을 더 찾아보고 있어. 최근 새로 나온 앱들은 없어? 옵시디언도 헵타베이스도 좋은데 다른 앱들도 찾아보고 있어" 라고 대답을 한다. 그리고 오고간 대화들은 대략 이런식이었다. "왜 앱들을 더 찾아보고 있는거야?" "처음부터 제대로 된 나만의 메모 시스템을 만들려고 그러는거지" "시스템을 만들면 세컨드 브레인을 만들 수 있는거야?" "우선 메모 시스템을 만들어야 세컨드 브레인을, 제텔카스텐을 시작할 수 있지" "시스템을 만들면 뭘 하려고?" "메모를 시작해야지..." "그럼 메모를 그냥 지금부터라도 하면 되는게 아닐까?" "이런 저런 메모 앱들 중에서 먼저 어디에 할지를 정해야지" "그냥 먼저 어디에서든 메모를 시작하면 안되는거야?" + 나도 자주 하는 실수지만, 때때로 본질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1. 부자가 되고 싶으면, 부자처럼 살면 되는게 아니다. 돈을 벌어야 부자가 된다. 2. 부자들이 어떻게 사는지 공부하는 것보다 돈을 열심히 벌면 부자가 된다. 3. 그런데, 정작 많은 이들은 부자의 행동을 공부한다. 4. 일찍 일어나고 책을 많이 읽고 운동도 열심히 하고 인맥도 열심히 쌓아나가고 등등 5. 그런데 이런걸 따라한다고 부자가 되는건 아니다. 6. 결과와 과정을 혼동하면 안되는데, 우리는 늘 결과를 먼저 생각한다. + 루만 교수는 심지어 디지털도 아닌 오프라인 메모 시스템으로 그런 생산성을 만들어 냈다. 메모를 꾸준히 하고 그 메모들을 연결해서 나오는 새로운 발견이나 생산성(다양한 아웃풋) 등의 결과가 마치 그 시스템을 잘 만들어 두어서 그런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시작은 메모였고, 그 이후는 연결이었다. 그 결과가 엄청난 아웃풋이었던거다. 여러 제텔카스텐 방식을 학습하고, 준비만 계속 한다. 노트는 언제? 연결은 또 언제? + 설사 자신에게 잘 맞는 툴을 발견했어도,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에버노트든, 구글킵이든, 애플 노트든, 원노트든 아니면 그냥 노트에 필기를 하든, 일단 메모를 시작하는게 제일 중요한거 같다. 그러다보면, 아쉬움을 느끼게 되고,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시기가 온다. 그럴 때 자신의 가려운 부분을 해소해 줄 앱을 찾을 수 있게 되고 그 때 효율이 극대화될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메모를 안해본 사람이, 최근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앱들을 평가할 수 있을까? 아직 취향이 만들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단점을 볼 수 있을까?) 어떤 결과를 위한 긴 과정의 시작은 그냥 메모이다. + 데본싱크도 비슷하다. 데본싱크를 처음 주변에 많이 소개했을 때, 데본싱크의 유용성을 바로 느끼기는 쉽지 않다. 왜냐면, 안에 담긴 데이타가 적기 때문이다. 데본싱크 앱을 내가 오랜 기간 사용하고 있다고 자위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다. 데본싱크 안에 꾸준히 자신만의 데이타베이스를 만들어 나가는게 중요한거 같다. (습관적인) 클리핑도 하고 좋은 피드를 발견하면 등록하고, 문서들도 꾸준히 인덱스를 하고 분류도 틈틈히 해야 한다. 그런데, 그렇지가 않다. 처음 몇번 폴더 인덱스 해보고, 피드 몇개 걸어두고, 아티클 몇번 클리핑하고 끝이다. 그렇기에, 인스톨한지 수년이 지났지만, 데본에 쌓인 자료가 빈약할 수 밖에 없다. 당연하겠지만, 데이터가 많지 않다면, 데본은 그닥 쓸모가 없다. + 정작 과정은 잊히고 예상되는 결과만으로 접근한다면, 시간이 아무리 지나도 쌓이는건 없지 않을까?
  2. 1. 동료중에 슈퍼 일잘러 일본 출신 A가 있다. 2. 언젠가 한번 A에게 어떤식으로 일을 관리하는지 얘기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 나눈 얘기가 너무 인상적이었다. 3. A는 할일관리를 위해 어떤 앱도 사용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좀 소름.(A는 20대 후반이다.) A의 할일 관리 방법 1. 매일, 매주, 매달, 매년 정해놓고 하는건 아니지만, 해야 할 일들을 몽땅 카드에 적어놓는다. 2. 이렇게 만들어진 카드들은 그래서 생각보다 굉장히 많다. 시시콜콜한 할 일들도 적는다. 어디 방문하기 등. 3. 일과 관련된거 뿐만 아니라, 넷플에서 드라마 보기 등도 구체적으로 적어 놓는다. 4. 이렇게 적어 놓은 후, 매일 오늘 할 일들을 신중하게 선택한다고 한다. (카드들을 보니, 마치 단어장을 보듯이) 카드 하나 하나 넘겨보면서 신중하게 선택을 하더라. 5. 너무 많은 카드를 고른 경우, 그 카드들 중에서 다시 선택을 한다고 한다. 6. 이 과정에서 재미있는 일이 생긴다. 카드를 고르는게 아니라 빼다보니 남는 카드에서 다시 할 일들을 정하는게 된다. 카드 선택시, 오늘 해야할 일을 먼저 고른다기 보다, 오늘은 하기 싫은 일들을 먼저 빼버린다. 7. 얘기를 들으면서 이게 좀 의미 있어 보였다. 싫은 일들을 지우고 하고 싶은 일을 채우는 과정이랄까? 그런데 아니나 다를까, 이 때 기분이 좋아진다고 한다. 하기 싫은 일을 안한다는 자기 선택이 주는 행복감이랄까?! 8. 이렇게 하기 싫은 일을 뺄 때(스스로 결정), 큰 행복을 실제 느낀다고 한다. 9. 그런데 이렇게 빠지는 일들 중 대부분이 넷플릭스 XX 드라마 시작하기 같은 경우가 많다고 한다. 10. 운동하기 등 같은 것도, 능동적 취사 과정을 거쳐 선택받게 되면 빼먹지 않고 잘 하게 된다고 한다. 11. 드라마 같은 경우, 소비되는 시간외에도 다른 에너지도 많이 들어가는거 같고 그래서 아침에 그 날 해야할 일들을 선택할 때, 벌써부터 피로감을 느껴 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물론 엄청 재미있게 본 시리즈의 다음 에피소드나 다음 시즌의 경우는 예외겠지만. 12. 하고 싶은 일과 해야할 일들의 균형을 맞춰 카드들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선택한 카드들은 출근해서 책상 위 잘 보이는 곳에 펼쳐놓고 일을 시작한다고 한다. 13. 얘기를 들으면서, 문득, 자기 선택을 통해 해야할 일들을 정할 때 즐거움이 있겠구나란 생각이 들었다. 14. 반드시 해야 하는 일들이 있다. 회사니까 당연하다. 그 일들 사이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들을 골라 넣는 방식. 15. 좋은 아이디어인거 같다. + 나는 이걸 응용해서 헵타베이스에서 활용하기 시작했다. 1. 헵타베이스에 맵을 우선 만들었다. 2. 그리고 온갖 일들을 나 역시 카드로 만들었다. 3, 그 카드들을 만들면서 위치와 색깔들로 정리를 한다. 4. 그리고 그 맵에 오늘 해야 할 일, 이번주, 월별 화이트보드를 만들어놨다. 5. 모든 월별 화이트보드에 카드들을 넣어둘 필요는 없다. 6. 매일 매일 카드가 늘어난다. 카드는 온갖 것들을 다 만든다. 휴식하기, 게으름 부리기 등도 만들어둔다. 7. 난 그냥 오늘 해야할 카드 5개만을 선택한다. 8. 때때로 어떤 카드들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카드가 되더라. 그 카드는 오늘 해야할 일 목록에 약간 터줏대감처럼 자리를 잡는다. 주말엔 잠깐 놓아준다. 9. 실제 완료된 카드는 다시 색깔을 바꾸고, 완료라는 화이트보드로 옮겨놓는다. 10. 그리고, 저널을 작성할 때 해당 카드들(테스크들)에 대해 아주 간단하게라도 회고를 한다. 때론, 한줄로 11. 헵타베이스로 이렇게 할일 관리를 할 때 최대 장점은 하나의 카드가 여러 화이트 보드와 맵에 계속 + 중복되어 활용(포함)될 수 있다는 점이다. 12. 누구나 해당 카드에 대한 회고 등으로 저널을 사용하는지 모르겠지만, 내 경우 이 방식이 너무 좋다. 적어도 하나의 저널을 작성할 때 하나 이상의 카드와 연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연결 되지 않는 저널은 헵타베이스가 아닌 다른 곳에 작성한다.(옵시디언 등) 13. 즉, 저널을 통해 해당 카드 관련 회고를 하고, 저널의 캘린더뷰가 아닌 특정 카드들을 다시 리뷰하면서 내가 언제 이 카드와 관련 어떤 일을 했거나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살펴보는게 재미있다. 14. 어떤 카드는 여러날의 저널과 연결되는데, 이전의 저널 내용을 살펴보면서 어떤 발전을 했고 실수를 줄여나갔는지도 한번에 리뷰할 수 있어서 좋은거 같다. 15. 헵타의 비주얼 노트 방식의 강점은 적어도 이런식의 구성을 어느 정도 마친 후 빛을 발한다. 16. 바로 카드와 카드의 연결을 통해 어떤 카드가 어떻게 다른 카드들과 연결되어 사고의 발전, 또는 프로젝트의 발전으로 이어지는지 나중에 시각화할 수 있고 17. 공유를 통해 발표를 하거나 누군가에게 내 프로세스 또는 내 지식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거 같다. 18. 툴을 무작정 늘리기보다, 잘 쓰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19. 실제 헵타베이스를 쓰기 전에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 이 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다. 20. 특히 사용전에, 이 영상을 보면서 내게 맞는 활용 방법을 고민하고, 그 방법으로 사용 가능할까에 대해서 고민을 충분히 했던거 같다. 21. 그리고 지금은 옵시디언에 캔버스 기능이 추가 되었지만, 헵타베이스만의 활용방법으로 잘 사용하고 있다.
×
×
  • Create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