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부 인생의 마지막 도전
Quote“드릴 말씀이 없어 미안합니다”
지금으로부터 13년 전인 2009년에 최설 작가는 의사에게 시한부 선고를 받았습니다. 이름도 예스러운 병 결핵. 그중에서도 치료약이 없는 슈퍼 결핵을 앓고 있었거든요.
의사의 이야기를 들은 작가는 죽기 전에 장편 소설이라도 남겨야겠다는 조급한 마음에 병상에서 A4 원고지 100장 분량의 '소년의 일생'이라는 첫 장편 소설을 완성합니다. 하지만 장편 소설은 죽고 작가는 살아납니다. 소설은 공모전에서 탈락했지만, 작가는 그의 소설 속 주인공처럼 기적 같이 임상시험 치료에 성공하면서 더는 죽지 않아도 되는 사람이 되었거든요.
1년에 360일
Quote"영감을 찾는 사람은 아마추어이고, 우리는 그냥 일을 하러 간다."
병마에서 살아남게 된 그는 2010년경 에브리맨이라는 소설에서 위의 대사를 만납니다. 작가는 인터뷰에서 "고백하자면, 나를 소설가로 만드는데 저 말보다 더 큰 몫을 한 것은 없다."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작가는 1년에 360일은 정해진 시간, 정해진 카페에 가서 그냥 글을 썼습니다. 무려 12년 동안 말이죠.
소설가로 등단하고 싶던 그는 단편 쓰기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번번이 등단의 문턱을 넘지 못합니다. 단편 소설에 집중하던 동안에도 마음 한구석엔 첫 단편소설을 세상에 내보내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소년의 일생'을 쓴 지 11년 만에 작가는 '대실패' 폴더에서 옛 작품을 다시 꺼내어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씁니다. 그리고 2022년. 옛 소설은 '방학'이라는 새이름을 달고 한국경제 신춘문예에 당선됩니다.
마음을 울리는 꾸준함의 힘
최설 작가의 등단 스토리는 저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비록 죽는 병은 아니지만, 저도 나을 수 없는 병에 걸려 고통을 받고 있어 동병상련을 느끼기도 했고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꾸준한 노력을 통해 등단을 한 모습이 감동적이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직업으로서의 소설가'에서 글쓰기의 꾸준함을 강조합니다.
Quote그것은 내게는 ‘통상 영업행위=Business as usual’이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혹은 그런 정해진 패턴에 나 자신을 몰아넣고 생활과 일의 사이클을 확정했을 때에야 비로소 장편소설 쓰기가 가능해진다—라는 면이 있습니다.
장편소설을 쓸 경우, 하루에 200자 원고지 20매를 쓰는 것을 규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내 맥 화면으로 말하자면 대략 두 화면 반이지만, 옛날부터의 습관으로 200자 원고지로 계산합니다. 좀 더 쓰고 싶더라도 20매 정도에서 딱 멈추고, 오늘은 뭔가 좀 잘 안된다 싶어도 어떻든 노력해서 20매까지는 씁니다. 왜냐하면 장기적인 일을 할 때는 규칙성이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입니다.
어렸을 때는 '영감'이 작품을 만든다고 생각했습니다. 영감이라고 하면 방탕한 천재 예술가가 난장판 속에서 떠올리는 것으로 생각했지요.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는 규칙적인 생활과 꾸준함이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압니다. 그것이 글쓰기든 일이든 말이죠. 느리지만 꾸준히, 끊임없이 한 걸음씩 나아가야겠다는 결심을 또 한 번 해봅니다.
Quote문득문득 선생님의 말이 생각날 때가 있다. 계속했으니까 안 거다. 그만두지 않았으니까 안거다. 지치지 않았으니까 그 열매를 맛본 거다.
<모든 요일의 기록 - 김민철>
22.8.5.
관련 포스트
Edited by 사이시옷
- 3
5 Comments
Recommended Comments
Create an account or sign in to comment
You need to be a member in order to leave a comment
Create an account
Sign up for a new account in our community. It's easy!
Register a new accountSign in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here.
Sign In Now